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혜성의 구성요소 기원 역사 유성과다른점

by 머니테이커007 2024. 7. 14.

혜성의 구성요소 기원 역사 유성과 다른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혜성

혜성

태양계 내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형 궤도를 따라 도는 소천체 중 하나이며 주로 얼음, 먼지,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순우리말로는 꼬리가 있어서 꼬리별, 화살모양이라 해서 살별이라고 부릅니다. 한자어로는 나그네처럼 갑자 나타난다 하여 객성이라고도 합니다. 

혜성의 구성 요소

핵(Nucleus)

  • 혜성의 중심 부분으로, 주로 얼음과 먼지로 구성된 작은 천체입니다. 직경은 수 킬로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에 이릅니다.

코마(Coma)

  •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질 때, 핵의 표면 물질이 기화하면서 형성되는 가스와 먼지의 구름입니다. 이 코마는 핵 주위에 형성되어 혜성을 둘러싸는 둥근 모양을 만듭니다.

꼬리(Tail)

  • 태양풍과 복사압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되는 혜성의 꼬리입니다. 꼬리는 태양 반대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이온 꼬리(Ion Tail): 전하를 띤 입자들이 태양풍에 의해 형성되는 꼬리로, 태양 반대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뻗어 있습니다.

2. 먼지 꼬리(Dust Tail): 미세한 먼지 입자들이 태양 복사압에 의해 형성되는 꼬리로, 휘어진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혜성의 궤도

 궤도의 형태

1. 타원형 궤도

  • 혜성의 궤도는 타원형이며, 이 타원은 매우 찌그러진 형태일 수 있습니다. 즉, 궤도 이심률이 높아 길쭉한 형태를 띱니다.
  • 태양이 이 타원의 한 초점에 위치하게 됩니다.

2. 근일점과 원일점

  • 근일점(Perihelion): 혜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입니다. 이때 혜성은 태양의 열과 복사압으로 인해 얼음이 기화하며, 코마와 꼬리가 형성됩니다.
  • 원일점(Aphelion): 혜성이 태양에서 가장 멀어지는 지점입니다. 원일점에 도달할 때는 혜성이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얼음이 다시 응고하며 활동이 감소합니다.

 궤도의 주기

1. 단주기 혜성(Short-period Comet)

  • 주기가 200년 이하인 혜성으로, 일반적으로 태양과 목성 사이의 공간에서 공전합니다.
  • 대표적인 예로 핼리 혜성(Halley's Comet)이 있으며, 주기가 약 76년입니다.
  • 이들은 주로 쿠이퍼 벨트(Kuiper Belt)에서 기원합니다.

2. 장주기 혜성(Long-period Comet)

  • 주기가 200년을 초과하는 혜성으로, 태양계 외곽의 오르트 구름(Oort Cloud)에서 기원합니다.
  • 이들은 태양계 바깥에서 매우 긴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공전합니다.

 궤도의 역학

1. 제트 효과

  • 혜성이 태양에 접근할 때, 가스와 먼지가 제트 형태로 분출되어 혜성의 궤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혜성의 회전과 공전 궤도에 미세한 변화를 일으킵니다.

2. 중력 상호작용

  • 혜성의 궤도는 행성과 다른 천체들의 중력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목성처럼 큰 행성의 중력은 혜성의 궤도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 혜성이 행성과 가까워지면 중력적 섭동으로 인해 궤도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궤도의 변화

1. 태양

  •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질 때, 태양열로 인해 얼음이 기화하며 가스와 먼지가 분출됩니다. 이로 인해 혜성의 질량과 궤도가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2. 행성 중력

  • 혜성이 행성 근처를 지나칠 때, 행성의 중력에 의해 궤도가 크게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혜성을 태양계 내로 끌어들이거나 궤도를 이탈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3. 조석력

  • 혜성이 태양이나 행성에 매우 가까워질 경우 조석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며, 이는 궤도와 혜성 자체의 물리적 구조에 큰 변화를 초래합니다.

혜성의 기원

  • 쿠이퍼 벨트(Kuiper Belt):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 너머에 위치한 원반 모양의 지역으로, 주로 단주기 혜성이 기원합니다.
  • 오르트 구름(Oort Cloud): 태양계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구형의 천체군으로, 주로 장 주기 혜성이 기원합니다.

혜성의 역사

 고대와 중세 시대

  • 고대 문명: 혜성은 고대 문명에서 종종 신의 징조나 재앙의 전조로 여겨졌습니다. 중국,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의 고대 문명에서는 혜성의 출현을 기록으로 남겼으며, 이러한 기록은 천문학의 초기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 고대 그리스와 로마: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혜성을 대기 현상의 일종으로 간주했으나, 후에 철학자 세네카는 혜성이 천체임을 주장했습니다.
  • 중세 유럽: 중세 유럽에서는 혜성이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습니다. 1066년 핼리 혜성의 출현은 잉글랜드의 정복과 연결되어 베이유 태피스트리(바이외 태피스트리)에 묘사되었습니다.

르네상스와 근대 초기

  •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르네상스 시기,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혜성을 태양 중심 우주론의 일부로 보았고,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혜성을 관측했습니다.
  • 티코 브라헤와 요하네스 케플러: 티코 브라헤는 혜성이 대기권 바깥에 위치함을 증명했고, 요하네스 케플러는 혜성의 궤도가 타원형임을 주장했습니다.

 근대 과학의 발전

  • 에드먼드 핼리: 1705년,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는 핼리 혜성의 주기적 출현을 예측하여 혜성이 태양계를 따라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천체임을 입증했습니다. 핼리 혜성은 76년 주기로 돌아오는 단주기 혜성입니다.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은 자신의 만유인력 이론을 통해 혜성의 궤도를 계산하고 설명했습니다.

 현대 과학과 탐사

  • 20세기 관측: 현대 천문학의 발전과 함께 혜성의 관측 기술도 발전했습니다. 1910년 핼리 혜성의 출현은 천문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었으며, 1986년 핼리 혜성의 재출현은 지구에서 발사된 여러 탐사선들이 혜성을 가까이에서 연구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 우주 탐사선: 1986년, 지오토(ESA), 베가 1호와 2호(소련), 스이세이와 사키가케(일본) 등의 탐사선이 핼리 혜성을 탐사했습니다. 이 탐사들은 혜성의 물리적 특성과 조성을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 로제타와 필레: 2014년, 유럽우주국(ESA)의 로제타 탐사선이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접근하여 필레 착륙선을 성공적으로 착륙시켰습니다. 이는 혜성 표면에 첫 착륙한 사례로, 혜성의 구성 성분과 구조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혜성과 유성의 주요 차이점

  • 기원: 혜성은 태양계 외곽의 쿠이퍼 벨트나 오르트 구름에서 기원하며, 유성은 소행성대나 혜성의 잔해물에서 기원합니다.
  • 구성: 혜성은 주로 얼음과 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성체는 주로 암석과 금속으로 구성됩니다.
  • 궤도: 혜성은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태양을 공전하고, 유성체는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유성이 됩니다.
  • 관측 방법: 혜성은 주로 망원경이나 육안으로 꼬리를 포함한 전체를 관찰할 수 있고, 유성은 대기권에 진입할 때 발생하는 빛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